2024. 10. 2. 09:24ㆍ영화
대도시에 사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익명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익명성이라 함은 인터넷에서 실명공개하지 않고 가면을 쓰고 마음 것 감정 배설같은 걸 하는 걸 의미합니다. 대도시에서는 직접 사람들이 만나지만 좀 더 자유롭습니다. 워낙 많은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당장 내가 사는 지역에서도 모르는 사람투성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자유롭다는 의미입니다. 작은 도시라면 좀 더 어렵죠. 시골 농촌같은 경우에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서로가 서로를 너무 잘 알고 있습니다. 숨길 수 있는 게 많지 않습니다. 숨기려 해도 힘들죠. 소도시만 해도 약간 가능합니다만 오래 지속되기는 힘들죠. 대도시에는 이게 가능합니다. 바로 앞 집이나 옆 집에 살아가는 사람에 대해서도 잘 모릅니다. 그렇다고 배타적이진 않습니다. 개인주의에 가깝다고 해야죠. 굳이 참견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한국인의 정서인 정이 있어 특별한 상황에서는 개입을 하긴 하죠. 어려울 때와 같은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도와주려는 모습을 보입니다.
대도시에는 별의별 사랑이 가능합니다. 길거리에서 걷고 있는 사람들이 어떤 사람인지 전혀 모릅니다. 남녀, 남남, 여여 등. 단 둘이 걷고 있을 때 아무런 관심도 없습니다. 그러니 대도시에서 좀 더 자유롭게 다양한 사랑을 할 수 있습니다. 영화 <대도시의 사랑법>은 그런 의미를 갖고 있다고 봅니다. 영화에 나온 주인공이 소도시였다면 지속적인 생활은 힘들지 않았을까합니다. 결국엔 모든 걸 포기하고 대도시로 나가거나 어쩌면 극단적인 선택을 했을 수도 있겠죠.
솔직히 영화가 크게 끌리진 않았습니다. 김고은은 그래도 괜찮은 데 노상혁은 크게 끌리지 않았습니다. 여러 작품에서 봤지만 딱히 인상적이지 못했습니다. 연기가 뭔가 조금은 겉도는 느낌도 없지 않아 있었고요. 확실히 배우는 자신에게 어울리는 역을 맡았을 때 빛이 납니다. 이번 영화에서 노상혁은 제가 볼 때는 인생캐릭터가 아닐까 합니다. 성 정체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어딘지 도도한 느낌도 들면서 연약한 마음을 갖고 있는 흥수를 제가 볼 때는 참 잘했습니다.
김고은은 진짜 스펙트럼이 다양한 듯합니다. 뭔가 비슷한 캐릭터를 연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시도를 하네요. 직전 작인 <파묘>도 만만치 않은 캐릭터였는데요. <도깨비>에서 로코장르를 하며 이름을 제대로 각인시켰죠. 그후로 출연한 작품을 보면 겹친다는 느낌이 드는 캐릭터가 없네요. 단순히 인기배우를 넘어 연기 잘하는 배우. 거기에 자신의 힘으로 관객을 불러모을 수 있는 배우로 가는 듯합니다. 그럴려면 연기도 잘해야 하지만 작품을 보는 안목도 중요한데요.
김고은이 출연한 작품은 제가 볼 때는 다 괜찮네요. 이번 작품도 무척이나 독특한 캐릭터입니다. 처음 시작할 때 김고은이 연기한 재희가 웨딩드레스를 입고 담배를 피자 흥수가 신부라고 부릅니다. 곧장 흥수는 게이라는 게 밝혀지죠. 저는 둘이 워낙 친하게 지내며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선택한 게 아닐까 했습니다. 재희는 프랑스 유학을 갔다 왔는데 거칠 것없이 삶을 살아갑니다. 자신에게 음담패설 소문이 돌자 이를 모든 사람이 보는 앞에서 정면돌파합니다.
흥수는 자신의 성 정체성이 노출될까봐 전전긍긍하며 살아갑니다. 흥수가 그렇다고 노심초사하는 스타일은 아닙니다. 매일같이 술마시고 오로지 원나잇만 즐깁니다. 사랑할 생각은 전혀 없어 보입니다. 흥수가 그런 선택을 한 건 자신이 상처받지 않으려는 방어처럼 보였는데요. 한편으로는 한국사회에서 살아가며 가장 최고의 선택이라고 생각한 듯 보였습니다. 재희와 흥수는 같은 과로 1학년 때 처음 만나 서로 헤어질 수 없는 베스트프랜드가 되고 말죠.
둘은 남녀지만 사랑을 할 수는 없죠. 그런 면에서 신기할 수도 있는건 흥수와 달리 재희는 얼마든지 사랑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둘이 함께 살 정도로 모든 걸 나누는데요. 분명히 남자니 재희는 흥수에 대해 마음을 느낄 수도 있을텐데 그렇지는 않더라고요. 진짜 완전한 친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관계에서 발전하지는 않습니다. 재희는 여러 남자를 흥수와 함께 살아가는 동안 만나게 되고요. 흥수는 자신의 마음을 누구에게도 허락하지 않고 살아갑니다.
영화를 보면서 진짜 둘이 결혼은 아니지만 동거하면서 살아가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했네요. 대도시에서 충분히 가능하죠. 아무리 그래도 각자 부모님이 있으니 쉽지는 않겠죠. 서로가 정말 잘 맞는 친구입니다. 누군가와 함께 산다는 건 사랑이 시작일 수 있어도 나중에는 우정이 더 클 수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이 영화 원작을 쓴 박상영 작가가 거기까지는 경험하지 못했을테니까요. 그런 이유로 둘이 함께 평생 사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재희는 나이를 먹어가며 다소 순해지고 사회에 좀 더 적응하며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흥수는 자신의 성정체성을 숨기며 살아가려 합니다. 한국 사회에서 그걸 밝히는게 좋을 것도 없고요. 자신을 보는 엄마를 위해서도 그게 최선이라고 생각하고요. 영화 후반부에는 이런 점에 대해 좀 더 생각할거리를 던져줍니다. 마지막 결혼식에서 노상현이 배드 걸 굿 걸 노래에 맞춰 춤을 추는데 연습도 많이 했을 듯한데 무척 인상적이었습니다. 그 이전 영화 전개를 함께 했기에 뭔가 울컥하더라고요.
단순히 대도시를 살아가는 사람의 사랑만 나오는 건 아닙니다. 남녀관계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설정도 나옵니다. 사회에서 벌어지는 남녀에 대한 편견도 함께 보여주고요. 아울러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벌어지는 폭력도 함께요. 그렇게 볼 때 재희와 흥수는 그런 일은 절대로 벌어지지 않죠. 서로가 남녀차이만 있을 뿐 어떤 성적 긴장감도 없습니다. 진짜 친구가 있다면 이렇겠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더구나 서로 성별에 따른 부족함을 보완해주는 친구. 오히려 더 완벽한 사이처럼 저는 보이더라고요.
핑크팬더의 한 마디 : 둘이 행복하면 그게 진짜인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