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소설(7)
-
쌈리의 뼈
어느 지역이나 역 근처에는 집장촌이 있었다. 지금은 대부분 사라졌지만 여전히 남아 있는 곳이 있다. 그 중에 하나가 쌈리다. 쌈리는 평택에 있는 집창촌으로 마지막 집창촌이라고 한다. 아마도 대규모 지역으로는 그렇다는 이야기 아닐까한다. 워낙 유명한 곳이 미아리나 용산, 영등포 등 상당히 곳곳에 있었다. 사실 쌈리가 그런 곳이라는 건 이 책 를 읽고 알았다. 여전히 이 부분에 대해서는 설왕설래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다수다.네덜란드처럼 합법화 되어 있는 곳도 있다. 음지에 있는 것보다는 차라리 양지로 합법화 하는 것이 낫지 않냐는 말도 한다. 이 책은 사실 쌈리가 배경일 뿐 그에 대해서는 자세히 나오지는 않는다. 그보다는 오히려 치매에 대해서 더 자세히 나온다. 치매를 이제 몇몇 사람에게 생기..
2025.05.14 -
귀문 고등학교 수상한 축제 -
단편소설이면서 추리형식의 소설. 이런 건 쉽지 않을 듯하다. 짧은 내용 안에 기승전결이 다 들어가야 하는데 뭔가를 숨기고 이를 해결하는 것까지 전부 넣으려면 엄청나게 어렵지 않을까. 이런 종류의 글을 쓸 엄두도 내지 않는 나로써는 대단하다는 생각뿐이 안 든다. 이런 글을 쓰는 작가가 참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는 전작인 의 후속작이다. 같은 학교라는 의미니 또 출연(?)한 캐릭터도 있다. 당시에 글을 썼던 작가 중에 또 썼으니 당시에 출연한 캐릭터를 다시 소환해서 연결성을 갖게 해줬다. 사실 이전 작에 대해 자세한 내용이나 캐릭터 이름은 기억나지 않았지만 읽다보니 생각이 났다. 귀문 고등학교라는 공통적인 걸 제외하면 각 작가마다 자신의 상상력을 동원해서 소설을 썼다. 귀문 고등학교가 이전 작에 이어 마저 ..
2021.11.30 -
절대적인 행복의 시간, 3분 - 배트맨
아마도 편견이지 않았을까한다. 의 작가인 조영주의 책을 로 알게 되었다. 책은 다소 음울하고 착 가라앉고 무거웠다. 다른 책도 읽었을 때 다소 그런 느낌이 강했다. 하다보니 작가랑 알게 되어 그가 쓴 모든 책을 최근에 읽었다. 단편부터 시작해서 장편까지 다 읽었다. 실제 작가의 성격이 어떤지와 상관없이 작품의 세계관이니 그렇다는 이미지로 책을 읽었다. 단편이 그나마 좀 더 밝은 느낌이긴 했지만 인상은 그랬다. 가벼운 느낌보다는 무겁게 추리를 해나가면서 뭔가 사건이 해결되는 과정이었다. 이번 책은 그런 느낌이 전혀 들지 않았다. 특히나 초반 3분의 1까지는 무척이나 경쾌하고 유쾌하게 읽을 수 있었다. 소설에 나온 출연진들이 전부 심각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다. 이전과 달리 형사들은 더욱 그랬다. 이게 더 ..
2021.11.12 -
카페 홈즈의 마지막 사랑 - 단편 모음
의도치않게 카페 홈즈와 관련된 소설을 자꾸 읽게 된다. 작가 중 한 명인 조영주 작가가 보내준 덕분이다. 카페 홈즈는 망원동에 실제로 존재하는 카페다. 나도 그곳을 조영주 작가를 만나러 간 적이 있다. 내부는 살짝 빈티지한 느낌에 원목 위주인 서재같았다. 벽으로 엄청나게 많이 책이 쌓여 있었다. 그 책의 대부분이 장르 소설이었다. 어떤 이유인지 모르지만 작가들이 많이 그곳에서 글을 쓴다는 이야기를 조영주작가에게 들었다. 조영주 작가가 그곳에서 알바도 하고 글도 쓰고 많은 시간을 보낸다고 들었다 집에서 상당히 먼데도 굳이 찾아가는 이유를 난 솔직히 모르겠지만. 뭔가 작가들에게 창작의 의지를 불태우는 분위기를 갖고 있나보다. 실제로 그곳에 의 봉준호 감독과 의 이창동 감독도 작업한 적이 있다는 이야기도 조영..
2020.10.05 -
혐오자살 - 배척
한국은 국제적인 국가다. 한국을 모르는 세계인도 많지만 한 해에 한국에 들어오는 외국인만 해도 무척 많다. 당장 서울을 돌아다니면 외국인을 만나는 것은 흔하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외국인 만나는 것은 이제 그다지 신기한 일도 아니다. 여기에 여러 곳에서 일을 하는 사람들도 만날 수 있다. 이들 때문에나 이들 덕분이라는 표현이 어색하지 않다. 한국은 갈수록 출산율이 줄어들고 있다. 대책 중 하나는 외국인의 적극적인 유치다. 이에 대한 호불호는 있겠지만. 무엇보다 한국은 단일 민족이라는 허상이 크다. 수많은 전쟁을 치뤘던 국가에서 단일 민족이라는 개념은 사실보다는 정치적인 목적이 더 크다고 본다. 한국에서 이제는 다문화라고 표현 - 왜 이런 표현을 하는지 이해는 하지만 이해가 안 된다 - 하는 사람들과 공존해..
2020.09.28 -
후가는 유가 - 쌍둥이
전혀 인식하지 못했는데 좀 읽고나서 작가가 누군지 보게 되었다. 알고보니 예전에 읽었던 의 작가였다. 일본은 물론이고 한국에서도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했던 작품이었다. 소설을 꽤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있다. 아무래도 나도 모르게 일본 소설은 추리나 스릴러 장르가 아닐까하는 편견아닌 편견이 있다. 그렇지 않은 소설이라는 걸 알고 읽는 것이면 명확히 인식하고 볼텐데 그렇지 않으면 나도 모르게 추리소설일 것이라는 생각으로 읽게된다. 읽어보니 추리 소설이라고 하기는 애매하지만 어느 정도 그런 형식이 포함되었다. 제목 자체가 다소 특이해서 무슨 말인가 했다. 라는 제목인데 책을 읽어보면 거꾸로 해도 무방하다. '유가는 후가'라고 해도 말이다. 유가와 후가는 쌍둥이다. 유가가 형이고, 후가는 동생이다. 쌍둥이는 일..
2020.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