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8. 10:22ㆍ경제
경제에 대해 배우는 건 참 어렵다. 우리 실생활에서 이보다 중요한 게 없는데도 알기 힘들다. 경제라는 게 다소 막연하기도 하다. 손에 잡히지 않는 개념이라 그런지 어렵다. 경제에 대해 알려주는 책으로 공부하는 경우가 많다. 경제는 다른 분야와 달리 수준이 참 애매하다. 보통 대부분 책은 초보자를 대상으로 한다. 초보자를 넘어가는 책이 있어도 많지 않다. 경제도 초보자를 대상으로 한 책이 많을 듯한데 그렇지 않다. 이상하게도 경제는 좀 더 디테일하다.
경제 전반에 대해 배우려면 너무 방대하다. 경제는 특정 영역이 아닌 전반적으로 다뤄야 할 게 넓다. 이러다보니 조금씩 알려주는데 이게 더 어렵게 한다. 뭔가 기초부터 하나씩 테크트리처럼 쌓아가는 게 어렵다. 경제라고 하니 GDP부터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개념을 알면 도움이 되지만 이게 직접적으로 일반인으로 처음부터 알아야 하는 생각도 한다. 순서의 문제일 뿐 알기는 알아야 한다. 그렇다고 너무 거시적인 접근이라 처음부터 공부하는 데 좀 어렵다.
경제에 관한 책이 꽤 많아도 초보자가 읽기 적합한 책이 참 드물다. 어느 정도 수준이 된 후에는 읽을 책이 넘쳐난다. 세계적 석학이 쓴 책부터 이코노미스트가 쓴 책까지. 전문적인 용어가 남발되지만 좀 더 심층적으로 알기에 도움이 된다. <10대를 위한 공짜 경제학>은 초보자에게 딱 맞는 책이다. 처음 제목을 봤을 때는 좀 우습게 봤다. 10대를 위한 경제라고 하니 어떤 내용일지 궁금하지 않았다. 나한테 왜 이런 책을 출판사에서 보낸거야라는 생각을 했었다.
책을 읽자마자 이런 편견은 완전히 사라졌다. 그보다는 오히려 책을 읽기 정말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보다 더 쉽게 경제에 대해 알려준 책이 없다. 이 책을 읽고 나도 배운 게 참 많다. 나름 수많은 책을 읽었는데도 여전히 파편처럼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개념을 제대로 장착했다는 느낌도 들었다. 책 초반에 나온 개념이 가격과 가치다. 아주 중요한 개념인데 어느 책에서도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 책이 기억나지 않는다. 경제를 알려주는 책에서 도입부가 시선했다.
가치라는 개념은 투자를 할 때 제일 먼저 접하는 단어다. 흔히 가치투자라는 표현을 한다. 여기서 가치가 무척이나 애매하다. 가치투자가 무척 저렴한 기업을 매수하는 것처럼 알려지기도 했다. 저렴한 기업을 매수했는데 계속 저렴한 경우도 너무 많다. 더구나 가치에 대해 사람마다 다르다. 가치가 다르니 누군가는 비싸다고 팔고, 누군가는 비싸다고 판 걸 산다. 가치에 대한 정의부터 그런 면에서 필요하다. 가치가 너무 모호하게 느껴지는 개념으로 다가온다.
책에서 가치에 대한 개념은 욕망이다. 내게 욕망을 불러일으키는 건 가치가 있다. 욕망을 불러일으키지 않으면 가치가 없다. 그러니 누군가는 욕망에 차서 가치를 높게 보고 산다. 누군가는 욕망이 이제 사라져 팔려고 한다. 이럴 때 가격이 등장한다. 욕망의 크기가 가격으로 산정된다. 아무리 욕망이 커도 가격에 치환된다. 내 욕망의 크기보다 가격이 높을 수 있다. 사람들마다 욕망의 크기가 늘 다르니 가격이 형성되고 거래가 된다. 욕망은 여러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이에 앞서 무료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 얼핏보면 말도 안 된다. 공짜로 뭔가를 쓸 수 있는 서비스를 기업이 내놓는다. 기업은 수익을 내기 위해 존재한다. 이를 위해 비즈니스는 누군가에게 특정한 가치를 어딘가에서 조달, 창조, 제공해서 수익을 내는 것이라고 책에서는 설명한다. 이런 상황에서 무료 서비스는 말도 안 되는 일이다. 우리는 공짜로 쓰니 좋은데 기업은 어디서 돈을 버는 것일까. 바로 다른 기업을 통해 번다. 사람들이 모인 곳에서 광고를 볼 수 있게 한다.
무료 서비스를 쓰는 사람 입장에서는 광고가 노출 되어도 신경쓰지 않는다. 현대사회에서는 이게 너무 당연한 시스템이 되었기 때문이다. 광고가 싫은 사람들을 위해서는 유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광고가 싫다면 기꺼이 돈을 내고 유료서비스를 이용한다. 최근에 OTT가 이런 경우다. 기업들은 이런 이유로 무료와 유료를 잘 혼합해서 제공한다. 경계선을 잘 타야한다. 이걸 잘못하면 한순간에 기업 이미지마저도 실추되면서 사람들이 떠나게 되니 말이다.
책은 일본인이 썼는데 한국 번역하면서 노력을 많이 한 듯하다. 한국화 한 것들이 곳곳에서 많이 보인다. 쉽지 않았을텐데 일본 내용을 한국에 맞게 편집하느라 고생했을 듯하다. 덕분에 이해하는 데 더 쉬웠다. 10대를 위한 책이라 더욱 그런 듯하다. 보통 번역서를 읽을 때 해당 국가 문화나 기업을 잘 몰라 힘들때가 있다. 이 책은 그런 어려움없이 내용 전개가 된다. 중학생을 위한 책이라고 하지만 경제를 알고 싶은 사람이 읽으면 큰 도움이 될 책이라고 본다.
증정 받아 읽었습니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책 내용이 너무 짧다.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경제 기초를 배우고 싶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