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비자물가가 예상보다 낮은 3%

2023. 7. 13. 10:56경제투자

728x90
반응형

중요하다고 하면 중요한 경제 뉴스 2개가 나왔습니다.

하나는 어제 미국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기대비 3%였습니다.

오늘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미국 소비자 물가는 예상치가 3.1%였는데 이보다 낮았습니다.

지속적으로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렸는데 말이죠.

여전히 높다면 높지만 몇 달 전에 6~7%와 비교하면 낮죠.

이건 2021년 3월 이후 제일 낮은 것이라고 합니다.

이러자 곧장 미국 증시도 반응을 했죠.

증시는 상승하고 10년물 국채는 하락을 했습니다.

계속 금리 상승의 기조가 강했죠.

특히나 연준의 보고서가 발표된 후 금리 인상은 기정사실이었습니다.

그랬는데 소비자물가가 발표되자마자 다시 분위기가 반전.

이런 것들은 시장에서 수시로 예측하는 겁니다.

나름대로 연준은 자기 길을 뚜벅뚜벅 가고 있는 듯합니다.

늘 시장은 이면을 예측하고 미리 환호와 공포를 맛보고요.

소비자 물가가 이렇게 안정적인 금리 인상은 멈춘거 아냐?

이렇게 하는데 예측이 3.1%였으니 몰랐던 것도 아닐테고요.

아마도 갈 길을 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오늘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모든 전문가가 한결같이 동결을 예측했습니다.

현재 한국은행에서 기준 금리를 올리는 건 힘들다.

무엇보다 최근 새마을금고 등의 영향이 크다는거죠.

여기서 금리를 올리면 부담이 너무 가중되니 말이죠.

아예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끝났다고 하는 주장도 많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올려도 한국은 올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이죠.

미국 금리가 올라가도 들어올 돈은 들어온다는거죠.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가 높은데 과연 그럴까라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만.

일단, 금리는 어쩔 수 없다고 해도 말이죠.

물가라도 잡힌다면 많은 것이 해결되겠죠.

한국도 유가덕분에 물가가 낮아진 것이라 좀 더 지켜봐야 할 듯하고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