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7. 7. 14:09ㆍ경제투자
갈수록 연금에 대한 걱정은 커집니다.
이건 나이를 먹을수록 그렇습니다.
젊을 때는 별로 신경도 쓰지 않고 관심도 적습니다.
특히나 최근에는 더욱 그런 분위기같기도 합니다.
이 돈 모아 무슨 의미가 있냐??
그냥 즐겁고 재미나게 살기 위해 돈이라도 쓰자.
이런 분들은 월급 등으로 받은 돈을 거의 다 씁니다.
저축 등은 신경 쓸 틈도 없다고 할 정도로요.
중요한 우리 인생이 1~2년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는 겁니다.
오래 살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100세 시대라는 말이 이제는 너무 평범해졌죠.
젊을 때는 돈이 좀 부족하고 적게 벌어도 됩니다.
그래도 일 할 수 있는 체력과 기회가 있으니까요.
나이를 먹을수록 체력과 능력과 기회가 줄어듭니다.
이럴 때는 그동안 준비한 걸로 먹고 살아야 합니다.
어느 누구도 솔직히 미리 준비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한 푼이라도 더 지금쓰는게 즐겁고 행복하죠.
문제는 우리가 지금 분위기로는 은퇴 후에도 몇 십년을 살아야 합니다.
그러니 미리 미리 준비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겁니다.
현재 이렇게 매월 수입으로 살아가는 은퇴연령이 있습니다.
이분들 중에는 은퇴귀족, 상류층, 중산층, 상대빈곤층, 절대빈곤층이 있습니다.
일을 하는 건 아니라서 그동안 준비한 걸로 먹고 사는거죠.
은퇴귀족일수록 공적(개인)연금과 예적금으로 받고 있습니다.
나이들면 일을 하는게 아니라서 매월 들어오는 수입이 아주 소중하죠.
은툉 중산층은 매월 198만 원의 수입이 있다고 합니다.
이정도면 풍족하지는 않더라도 먹고 살아갈 수 있다는 뜻이죠.
나이들어서는 자산이 많은 건 큰 의미가 없습니다.
얼마나 안정적으로 매월 통장에 돈이 들어오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자산은 팔아야 하고, 관리도 해야 하고, 신경쓸 것이 많거든요.
아직까지 한국은 주식쪽으로는 준비가 적지만 갈수록 커질 듯도 하고요.
미국같은 곳은 주식을 통해 은퇴를 준비하는 분이 많습니다.
덕분에 미국 주식이 지속 성장을 한 이유기도 하고요.
그로 인해 생각보다 은퇴할 때 자산이 좀 더 축적된 경우도 많습니다.
반드시 꼭 연금일 필요는 없지만 미리 준비해야겠죠.
노후에 매월 들어오는 소득만큼 중요한 건 없습니다.
어쩌면 그게 노후에는 성공의 중요한 척도일 수 있습니다.
다들 지금부터 준비 잘 하시길 바래요.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74217?ntype=RANKING
퇴직한 6070, 매달 198만원 꽂히면 중산층... 은퇴귀족층은? [왕개미연구소]
대한민국 ‘노후소득 피라미드’ 살펴보니 젊었을 때 어떻게 살았는지는 경제 활동에 마침표를 찍고 나서부터 나타난다. 오마카세와 호캉스 같은 과시성 소비를 즐겼던 사람은 나중에 세월의
n.news.naver.com
'경제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코프로로 58억 수익 인증한 사람 (0) | 2023.07.12 |
---|---|
월 7% 이자에 사기당한 연예인 (0) | 2023.07.12 |
적은 돈으로 부동산 경매에 몰려가는 2030세대 (0) | 2023.06.29 |
강남구에서는 집주인이 보증금 10억 마련해야한다 (0) | 2023.06.27 |
흑석동에 최소 5억 이상 버는 줍줍인 리버파크자이 (0) | 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