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7. 26. 20:49ㆍ경제투자
개인이 직접 투자 하는 건 쉬운건 아니죠.
개별 기업에 대해 알아보고 투자한다는 것도요.
이럴 때 대안이 펀드죠.
펀드는 전문가가 나 대신에 투자를 합니다.
펀드에 돈을 넣으면 펀드가 여러 기업에 투자하죠.
펀드는 다소 장기가 해야 좋다고 합니다.
이건 꼭 펀드가 아닌 대부분 투자에서 그렇게 알려주죠.
단기로 하는 건 투자가 아닌 투기라고도 하고요.
진득하게 오래도록 펀드에 돈을 넣는 건 아무나 못하죠.
과거 펀드의 전성 시절이 있었죠.
너도 나도 전부 펀드에 가입할 정도로 대단했습니다.
심지어 증권사 창구에서 번호표뽑고 기다려 가입할 정도였죠.
당시에 제일 유명했던 펀드가 있습니다.
미래에셋 디스커버리와 인디펜던스였습니다.
엄청나게 잘 나갔지만 펀든느 금융 위기 한풀 꺾였죠.
지금은 펀드보다는 ETF 위주로 가입을 합니다.
금융사도 펀드보다는 ETF에 좀 더 신경쓰는 듯도 하고요.
물론, 증권사 등에서는 펀드가 좀 더 이득이 되긴 하고요.
1억을 넣었으면 4억이 된 펀드가 생겼네요.
20년 전에 넣었으면 누적수익률 1040%라고 하네요.
뿐만 아니라 장기 펀드가 20년 평균 269% 누적수익률이라고 합니다.
무엇보다 20년이나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더 대단하죠.
중간에 마이너스 40%가 된 적도 있다고 합니다.
실제 20년을 보유한 고객이 있는지 확인해서 알려주면 더 좋았을텐데요.
꼭 20년을 목돈 넣고 기다린 사람 말고요.
적립식으로 꾸준히 넣은 사람의 수익률 말이죠.
그게 더 현실적으로 와 닿을 수 있었을 거 같습니다.
그래도 펀드로 이렇게 수익률이 생겼다는 것도 의미있어 보이네요.
이제 대세는 ETF라서 가입할 사람이 별로 없긴 하겠지만요.
어떤 선택을 하든 장기가 답은 아니지만 될 수 있는 한 장기로.
'경제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95.1억을 모을 수 있다고 한다 (0) | 2023.07.23 |
---|---|
광역급행철도 C노선 연내 착공 (0) | 2023.07.20 |
서울부자는 1년에 약 3.2억 번다 (0) | 2023.07.17 |
서울에서 부자 되려면 주택을 3채는 보유해야 한다 (0) | 2023.07.15 |
국민 연금 보험료 최대 3.3만 원 상승한다 (0) | 2023.07.14 |